<p></p><br /><br />해명은 했습니다만, 의혹은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이 사건 취재한 탐사보도팀 최석호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지금까지 터져나온 의혹만 해도 한두개가 아닙니다. 핵심부터 정리를 해 보죠. <br> <br>박동주 총경에 대한 경찰의 감찰조사 대상 시기는 그가 서울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장으로 있었던 지난 2019년과 2020년입니다. <br><br>의혹은 크게 4가지입니다.<br><br>근무시간에 여직원들을 불러 술자리를 가졌고, 그 술값을 경찰대 동기인 변호사가 대신 내줬다는 의혹, 건설업자로부터 호화 리조트에서 접대를 받았다는 의혹, 그리고 수사과정에서 압수한 마스크를 약사인 아내에게 빼돌렸다는 의혹입니다.<br><br>Q2. 술값 대납 의혹부터 살펴보죠. 아무리 대학 동기라고 해도 부서 회식 비용까지 대신 내줬다는 게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요? <br><br>술값을 대신 내줬다는 이 변호사, 박 총경과 경찰대 동기는 맞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얼마 다니지 않고 다른 대학으로 옮긴 것으로 알려졌는데, 박 총경이 있었던 지능범죄수사대라는 곳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><br>대기업 수사는 물론이고, 주요 인사들의 비위 의혹 수사를 담당하는 곳입니다. <br><br>지금도 이용구 법무부 차관의 음주폭행 사건과 윤석열 검찰총장 장모의 이권개입 의혹을 비롯해서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수사하고 있습니다.<br> <br>그래서 이 지능범죄수사대장이란 자리는 경찰 수사 사건을 수임한 변호사들이 만나고 싶어하는 대상 '1순위' 중 한명이라는 말도 있습니다. <br> <br>해당 변호사의 경우에도 경찰 수사 사건을 여러건 수임했는데, 만약 술값을 대신 지불했을 당시 이 변호사가 지능범죄수사대에서 수사중인 사건을 수임하고 있었다면, 박 총경은 청탁금지법 위반을 넘어 변호사법 위반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><br>Q3. 이력을 보니까, 서울경찰청 지능수사계장과 대장, 강남경찰서장까지, 요직을 두루 거쳤어요. 그런데 이런 사람이 압수한 마스크를 빼돌렸다는 의심을 받는다는 것도 이해가 안 가는데요?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불법 유통 혐의가 포착돼서 지능범죄수사대가 대량으로 압수한 마스크를 약사인 아내에게 빼돌렸다는 의혹입니다. <br> <br>마스크 대란 당시였다는 보도도 있었는데, 수사과정에서 압수한 물품은 재판과정에서 증거로 제출돼야 하고, 재판 결과에 따라선 폐기하거나 원소유자에게 돌려주는 게 원칙입니다. <br> <br>고가의 명품 같은 경우엔 예외적으로 국가가 경매에 붙이는, '공매' 절차를 밟기도 하는데, 마스크 같은 경우엔 공매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게 일반적입니다. <br> <br>이에 대해 박 총경은 "당시 정부에서도 마스크 재고가 있는 경우엔 신속한 판매를 요구하는 상황이었다"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국가 압수품을 사적 관계에 있는 아내에게 팔았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논란을 피해나가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. <br><br>Q4. 앞서 박 총경이 낸 입장문을 보니까, 경남 남해 호화리조트에서 건설업자로부터 접대를 받은 의혹이 있다는 어제 채널A 보도내용도 반박했어요? <br><br>"시골집이 잘 정리가 돼 있어서 리조트를 이용할 이유가 없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건설업자가 리조트 숙박 비용을 대납했다는 의혹을 부인한 겁니다.<br> <br>그런데요, <br> <br>리조트엔 숙박시설 외에도 18홀짜리 골프장과 스파는 물론, 고급식당만도 여러개 있다는 점에 경찰은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, 지능범죄수사대는 기업의 비리를 수사하는 곳입니다. <br> <br>[주영글 / 변호사] <br>"금액에 관계없이 직무에 관해 받은 돈이라는 점이 입증되면 뇌물수수죄가 성립합니다. 기업을 대상으로 수사를 할 수있는 경찰이라는 점에서 직무관련성이 인정될 여지가 있습니다. <br><br>경찰 조사상황을 지켜봐야겠지만, 업자와의 유착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형사처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><br>Q5. 정확한 사실확인을 위해서라도 감찰만 해서 끝날 문제가 아닌 것 같은데요? <br><br>술자리 의혹에 이어 돈 문제까지 불거진 상황 아니겠습니까? <br> <br>유착 의혹을 입증하기 위해선 휴대전화 통화내역이나 계좌를 들여다봐야 하는데, 영장이 필요합니다. <br> <br>강제 수사로 전환이 돼야 영장 신청도 가능한데, 정식수사로의 전환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<br>민중의 지팡이어야 할 경찰이 각종 의혹에 휩싸였다는 것만으로도 씁쓸하네요 <br> <br>사건을 보다, 최석호 기자였습니다. <br>